최근 SK텔레콤을 이용하는 분들 사이에서 “위약금 안 내고 통신사 바꿀 수 있나요?” 라는 질문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바로 대규모 해킹 사고 때문인데요.
정부 조사 결과, SK텔레콤이 고객 정보를 제대로 지키지 못한 책임이 인정되면서 앞으로는 원한다면 위약금 없이 해지하고 다른 통신사로 갈아탈 수 있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KT 해킹 사고는 왜 이렇게 심각했는지, 위약금 면제가 가능한 이유, 실제로 어떻게 해지하면 되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SK텔레콤 해킹 피해자라면 꼭 확인하고, 쓸데없는 위약금 내지 마세요!
SK텔레콤 해킹 사고 요약
유출 정보: 전화번호, 가입자 식별번호(IMSI) 등 유심 정보 총 25종
유출 규모: 약 9.82GB, IMSI 기준 약 2,696만 건
해킹 기간: 2021년 8월부터 최근까지 무려 3년 이상
조사 결과: SK텔레콤의 서버 관리 부실로 귀책 사유 인정
SKT 위약금 면제, 해지하려면?
SK텔레콤 고객이라면 아래 절차를 꼭 기억하세요.
1️⃣ SKT 고객센터에 문의하기
전화, 지점 방문, 앱 등에서 “해킹 사고로 인한 귀책 사유 해지”라고 꼭 밝혀야 합니다.
2️⃣ 관련 서류 준비하기
본인 명의의 약정서, 요금 납부 내역 등 해지 관련 서류를 준비해두면 분쟁 시 유리합니다.
3️⃣ 거부당하면 어떻게 하나요?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신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에 민원 접수 정부가 공식으로 인정한 만큼 충분한 근거가 됩니다.
SKT 해킹 피해, 추가로 알아둘 점
✔️ 유출된 유심 정보로 2차 피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유심 재발급을 받기
✔️ 스팸 문자나 스미싱 주의
✔️ 다른 통신사 요금제와 혜택을 비교해 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기
SKT 위약금 면제, 자주 묻는 질문 (FAQ)
Q. SKT가 자동으로 위약금을 면제해주나요?
A. 아닙니다. 고객이 직접 요청해야 적용됩니다.
Q. 위약금 면제 근거는?
A. SK텔레콤 이용약관 제43조: ‘회사의 귀책 사유로 계약 해지 시 위약금 면제’
Q. 해지하면 유심비는?
A. 유심 재발급 비용은 별도로 발생할 수 있으니 새 통신사 정책도 함께 확인하세요.
SKT 위약금 면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해킹 사태는 고객에게는 큰 불안과 피해를 준 사건입니다.
하지만 정부 발표로 위약금 없이 해지할 권리가 명확해졌으니 불필요한 비용 없이 안전하게 통신사를 옮겨가시길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일 언제? 지급액 얼마? 4인 가족 최대 208만 원 받는 법
- SKT 유심교체 비용, 시간, 대리점, 전화번호, 교통카드 잔액 및 데이터 오류 해결법! [2025 최신]
- SKT 유심보호서비스 신청, 해지 방법(웹, 모바일 앱)
- 양자컴퓨터 관련주 미국주식 BEST5
- 카카오페이 알뜰폰 요금제 추천 TOP 5 및 자녀용 요금제까지 [2025 최신 가이드]
- 2025 카카오페이 알뜰폰 요금제 비교, 개통, 최저가부터 데이터 무제한까지 완벽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