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 내용(의료비, 생계비, 주거지원 등)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2025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

2025년 서울지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에 총 142억 원을 투입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지원은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으로 소득 기준이 완화되고 지원 금액도 인상되며, 저소득 가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5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 내용(의료비, 생계비, 주거지원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는 이번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가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분들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어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제도란?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는 2015년부터 시작된 혁신적인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입니다.

주 소득자의 사망, 질병, 실직, 휴·폐업 등으로 경제적 위기에 처한 시민에게 신속한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제도는 국가의 긴급복지 지원을 보완하여 더욱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 서울형 긴급복지 위기사유, 신청서, 대상, 방법 및 필요서류는?

 

주요 특징

  •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 재산 기준: 4억 900만원 이하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 2025년 총 지원 예산: 142억원

 

지원내용

지원항목가구 구성원수추가지원
1인2인3인4인5인6인
생계지원730,500원1,205,000원1,541,700원1,872,700원2,186,500원2,485,400원1회(상이한 위기)
의료지원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1회(상이한 상병)
주거지원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없음
사회복지시설이용지원552,000원941,700원1,218,400원1,494,100원1,770,800원2,047,400원없음
교육지원수업료 + 입학금 : 초(127,900원)/ 중(180,000원)/ 고(214,000원)없음
기타지원연료비 150,000원/ 해산비 700천원/ 장제비 800천원/ 전기요금 500천원 이내없음

 

 

  • 주거비: 긴급한 의료비 필요한 경우 진료비 및 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주거비:임시거처 마련이 필요한 상황에 단기적으로 주거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교육비, 연료비, 해산비, 장제비 등 추가적인 교육 지원 및 기타 지원 등이 있습니다.

 

2025년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제도 변경사항

소득 기준 완화

가구 소득 기준

2025년도에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됨에 따라, 서울형 긴급복지의 소득 기준도 다음과 같이 조정됩니다:

해당 연도1인 가구 소득 기준4인 가구 소득 기준
2024년월 222만 8,445원월 572만 9,913원
2025년월 239만 2,013원 (7.3% 인상)월 609만 7,773원 (6.4% 인상)

 

생계급여 인상

해당 연도1인 가구 생계급여4인 가구 생계급여
2024년71만 3,100원183만 3,500원
2025년73만 500원 (2.4% 인상)187만 2,700원 (2.1% 인상)

 

 

지원 범위 및 조건

☑️기본 지원: 연 1회 지원

☑️추가 지원

☑️지원 가능 횟수: 특정 상황에서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

  • 다른 위기 상황 발생 시 1회 추가 지원
  • 고독사 고위험 가구: 생계 지원 1회 추가
  • 국가 긴급복지 지원 종료 후 위기 상황 지속 시 연 1회 추가 지원

 

신청 방법

신청 장소

긴급복지가 필요한 가구는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또는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서 상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아닌 위기 이웃을 발견한 경우에도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5개 자치구
  • 거주지 동주민센터
  • 120다산콜센터 (위기 이웃 발견 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을 받기 위한 자격은 무엇인가요?

A1: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은 주 소득자의 사망, 질병, 실직 등의 상황에서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4억 900만원 이하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Q2: 지원 금액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2: 지원 금액은 가구의 인원 수와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달라지며, 2025년 기준 1인 가구는 최대 73만 500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3: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횟수는 몇 번인가요?

A3: 원칙적으로 연 1회 지원이 가능하며, 추가 위기 상황에 따라 최대 3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4: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4: 거주지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Q5: 외국인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5: 일반적으로 외국 국적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서울시의 긴급복지 지원제도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위한 중요한 사회안전망입니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 속에서 시민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서울형 긴급복지 위기사유, 신청서, 대상, 방법 및 필요서류

국민연금 기초연금 중복 수령 가능여부 및 감액 제도(모의계산기) 2025

네이버지도 일상 긴급돌봄 검색 예약 방법

2025 에너지효율 1등급 환급신청 대상자, 사이트(최대 30만원 지원)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나이 신청방법 및 장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