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변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했다”는 말 많이 들리시죠?
저축만 하는 게 아니라, 정부가 지원금까지 얹어주는 금융상품이라 그런지 저도 처음에 귀가 솔깃했어요.
게다가 이게 비과세에 연 9%대 수익률까지 가능하다니, 이건 진짜 놓치면 손해인 거 있죠.
그래서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가 도대체 뭔데 이렇게 인기지?”, “나도 가입할 수 있을까?”, “신청은 어떻게 해?”
이런 궁금증을 전부 풀어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쉽게 말해서, 청년들이 5년 동안 꾸준히 돈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지원금을 붙여주고 이자까지 비과세로 챙길 수 있는 정부 지원 저축 제도예요.
- 가입 기간: 5년 (총 60개월)
- 월 납입 한도: 최대 70만 원
- 금리: 은행별 자율 (4.5% ~ 6.0%)
- 정부기여금: 최대 월 33,000원
- 이자 소득세: 전액 면제(비과세)
- 예상 만기 수령액: 최대 5,061만원까지 가능
모든 혜택을 적용할 경우 연 9.54%에 달하는 실질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요. 일반 적금과 비교해 훨씬 유리하죠!
한 마디로 은행 + 정부 + 비과세라는 세 가지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거죠!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누구에게 어떤 계좌가 더 유리할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나도 가입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죠?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
1. 연령 요건(나이)
-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만큼 나이 연장 가능
2. 개인 소득 요건
- 직전 과세 기간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3. 가구 소득 요건
- 중위소득 250% 이하
- 가구 기준은 주민등록등본 기준 (부모, 배우자, 자녀 등 포함)
4. 기타 제외 조건
- 최근 3년 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신청 불가
- 국내 거주자만 가입 가능
정부기여금과 금리 혜택
그렇다면, 혜택은 어느정도일까요? 여기서부터는 진짜 귀가 쫑긋해질 내용인데요…
월 70만원씩 5년 동안 납입하고, 정부에서 매달 지원금 + 은행 이자 + 비과세 혜택까지 더해지면
최대 5,061만원 수령 가능합니다.
게다가 은행에 따라 우대금리도 받을 수 있고, 정부 기여금도 올해부터 대폭 확대됐어요.
📌 총급여 2,400만원 이하라면? → 최대 연 9.54% 수익률 가능!
✔️예시: 총급여 2,400만 원 이하 청년이 매월 70만 원씩 5년간 저축 시, 최대 5061만 원 수령 가능
2025년 5월 신청일정 요약
5월은 공휴일이 많아 헷갈리기 쉬운 만큼, 신청일정을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입 신청: 5월 2일, 5월 7일 ~ 5월 16일
✔️가입 요건 심사: 5월 19일 ~ 5월 30일
✔️계좌 개설:
- 1인 가구: 5월 22일 ~ 5월 30일
- 2인 이상 가구: 6월 2일 ~ 6월 13일
📌 주의! 공휴일에는 신청이 안 되니까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신청 방법
생각보다 신청 방법은 진짜 간단해요.
청년도약계좌는 각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
은행 앱 접속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
신청서 작성 후 제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격 심사 → 통과하면 계좌 개설
개설 가능 은행
- 주요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 등
- 기타 은행: SC제일, 부산, 경남, 광주, 전북, iM뱅크 등
👉일부 조건에 따라 추가 서류 요청이 있을 수 있어요.
👉1년에 한 번은 자격 유지 심사도 있으니까 소득 변동 있을 땐 조심!
이런 분들에게 추천해요
매달 꾸준히 저축할 수 있는 사람
적금보다 높은 이자에 관심 있는 사람
5년 동안 목돈을 만들 계획이 있는 사람
정부 혜택, 비과세 상품을 적극 활용하고 싶은 사람
자주 묻는 질문
Q. 5년을 다 채우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A. 3년 이상 유지 시 기여금 일부 유지 가능하며, 2년 이상이면 원금의 40% 이내 부분 인출도 가능합니다.
Q.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최근 3개월 내 소득이 입증된다면 가능합니다!
Q. 부모님과 함께 사는 청년도 가능할까요?
A. 가능합니다. 단, 등본상의 가구원 소득을 합산하여 가구 기준 중위소득 250% 이내여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예금이 아니라, 국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제도입니다.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 청년들에게 목돈 마련의 기회를 공평하게 제공해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어요.
나의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조건만 맞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기간 안에 도전해보세요!
추천 관련글 더보기
-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누구에게 어떤 계좌가 더 유리할까?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조건, 서류(준비물) 총정리 (최대 1,440만원)
- 2025 NH농협 주택청약 이벤트,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하면 아이패드 받을 수도?
- 2025 청년 전세자금 대출 총정리, 종류, 조건, 이자, 연장, 이사, 나이, 서류까지 완벽 가이드
- 국세청 소득확인증명서 청년도약계좌 2025
#청년도약계좌 #청년정부지원 #청년목돈만들기 #2025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비과세적금 #청년정책금융 #청년저축 #목돈마련 #서민금융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