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과 우울, 더 이상 혼자 감당하지 마세요.
지금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통해 전문가와 함께 마음을 돌볼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비용 걱정 없이 받을 수 있는 8회 심리상담, 지금 신청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만큼, 빠르게 신청하지 않으면 놓칠 수 있어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청 조건은 생각보다 간단하며,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주변 사람을 위해서도 가능합니다.
이제 정부가 나서서 ‘마음 건강’까지 챙기는 시대. 정신건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란?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마음상담’ 기회로 정신건강이 필요한 국민에게 최대 8회까지 전문가의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중위소득 70% 이하라면 본인부담금이 ‘0원’이며, 소득 구간에 따라 30% 이내의 부담만 있으면 상담이 가능합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표 (1인~6인 가구)
아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본인부담금 기준이 되는 2024년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본인의 가구 규모에 따라 비교해보세요.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원) | 70% 이하 | 120% 이하 | 180% 이하 |
---|---|---|---|---|
1인 | 2,139,000 | 1,497,300 | 2,566,800 | 3,850,200 |
2인 | 3,573,000 | 2,501,100 | 4,287,600 | 6,433,800 |
3인 | 4,597,000 | 3,217,900 | 5,516,400 | 8,274,600 |
4인 | 5,604,000 | 3,922,800 | 6,724,800 | 10,087,200 |
5인 | 6,562,000 | 4,593,400 | 7,874,400 | 11,811,600 |
6인 | 7,497,000 | 5,247,900 | 8,996,400 | 13,494,600 |
예를 들어 4인 가구일 경우, 가구 소득이 약 3,922,800원 이하라면 본인부담금 ‘0원’으로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이 초과되더라도 지원비율이 존재하니, 꼭 확인해보시고 부담 없이 마음 돌봄 서비스를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지원 대상
생각보다 까다롭지 않은 조건! 아래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대상입니다.
- 정신건강복지센터, 학교 상담센터 등에서 상담 필요 의뢰서를 받은 자
- 정신건강의학과, 한방신경정신과에서 진단서나 소견서를 받은 자
- 건강검진 우울증 선별검사(PHQ-9) 10점 이상인 자
-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
- ‘동네의원 마음건강돌봄 연계 시범사업’ 통해 의뢰된 자
지원 제외 대상도 꼭 확인하세요
다만 다음에 해당되면 이번 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중증 정신질환(조현병 등), 급박한 자살위기, 약물‧알코올 중독 등 병원 진료가 우선인 경우
- 이미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아동청소년 심리지원 등)를 받고 있는 경우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비용은 1회당 7만~8만원 상담 비용 중 정부가 대부분 지원하고, 본인은 소득에 따라 일부만 부담합니다.
다음 표를 통해 소득별 본인부담금 예시를 확인하세요.
중위소득 기준 | 정부 지원금 (1회 기준) | 본인 부담금 | 총 8회 합계 |
---|---|---|---|
70% 이하 | 80,000원 | 0원 | 640,000원 (전액 정부지원) |
70% 초과 ~ 120% | 72,000원 | 8,000원 | 본인 총 64,000원 부담 |
120% 초과 ~ 180% | 64,000원 | 16,000원 | 본인 총 128,000원 부담 |
180% 초과 | 56,000원 | 24,000원 | 본인 총 192,000원 부담 |
전문상담 유형도 다양하게 준비
상담을 진행하는 전문가들은 자격을 갖춘 1급 및 2급 상담사로 분류됩니다.
– 1급: 정신건강전문요원, 청소년상담사, 임상심리전문가 등
– 2급: 청소년상담사 2급, 상담심리사 2급, 임상심리사 등
상담 품질도 걱정 없이 믿고 맡길 수 있어요.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 방법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1. 방문 신청: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2.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만 19세 이상 본인만 온라인 신청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서류는 무엇이 필요한가요?
신청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회서비스 이용신청서 (서식 1호)
- 이용자 동의서 (서식 2호)
- 해당 증빙서류 1종 (의뢰서, 진단서, 건강검진 결과 등)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Q&A
Q1. 꼭 우울증 진단을 받아야 하나요?
아니요. 상담센터에서 ‘상담이 필요하다’는 의뢰서만 있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Q2. 신청은 본인이 꼭 해야 하나요?
본인 외에도 가족, 친족, 법정대리인, 공무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Q3. 상담은 어디에서 진행되나요?
전자바우처 등록 기관에서 진행됩니다. 사회서비스 포털에서 확인 가능해요.
Q4. 상담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대면상담이 원칙이나, 기관에 따라 비대면 가능성도 있습니다. 신청 기관에서 방식 확인 필요합니다.
Q5. 이 사업은 언제까지 신청 가능한가요?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을 권장드립니다.
마음 건강은 누구나 챙겨야 할 ‘기본권’입니다. 이번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단 한 번의 신청만으로 당신의 삶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나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가족, 친구를 위한 정보로도 꼭 기억해 두세요. 놓치기 전에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추천 관련글 더보기